반응형
한중 FTA로 인한 통상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원대상 업종을 정리합니다.
1. 주요 지원대상 업종
한중 FTA 영향 대응을 위해, 다음 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은
통상변화대응지원사업의 지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✅ 기준: 한국표준산업분류(KSIC-11)
▶ 섬유 및 패션 관련 업종
- 섬유제품 제조업 (13)
- 방적·가공사, 직물 직조, 편조원단, 섬유 염색 및 가공
- 의복 및 액세서리 제조업 (14)
- 겉옷, 속옷, 한복, 모피제품, 편조의복, 액세서리
- 가죽, 가방 및 신발 제조업 (15)
- 가죽제품, 핸드백, 신발, 신발 부품
▶ 생활용품 제조업
-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(16)
- 합판, 건축용 나무제품 등
- 펄프,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(17)
- 종이, 골판지, 종이 포장재
- 제책업 (18)
-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(22)
- 포대, 봉투, 기타 플라스틱 제품
-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(23)
- 유리제품, 건설용 석제품, 도자기 등
- 가구 제조업 (32)
- 침대, 목재가구, 기타 가구
- 기타 제품 제조업 (33)
- 악기, 운동용구, 장난감, 사무용품, 장식용품 등
▶ 전기전자 및 기계
- 전자부품, 컴퓨터, 통신장비 제조업 (26)
- 디스플레이, PCB, 통신장비, 영상음향기기
- 전기장비 제조업 (28)
- 전동기, 배터리, 케이블, 조명장치, 가정용 전기기기
- 기타 일반기계 제조업 (29)
- 내연기관, 유압기기, 펌프, 산업용 트럭, 냉각장치
▶ 의료 및 제약 분야
-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(21)
- 기초의약품, 완제의약품, 한의약품, 동물용의약품, 의료기기
- 안경 및 렌즈 제조업 (27195)
▶ 출판 및 콘텐츠 산업
- 출판업 (58)
- 서적, 신문, 잡지, 기타 인쇄물
- 영상·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(59)
- 음악 및 오디오물
▶ 기타 지원대상 업종
- 식료품 제조업 (10)
- 과실·채소 가공, 전분 및 당류 제조
- 1차 금속 제조업 (24)
- 동 압연, 압출, 금속제품 가공
-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
- 수동식 식품가공기기, 금속주방용기, 기타 금속제품
✨ 지원대상 업종 요약 키워드
업종군키워드
섬유·패션 | 섬유, 의류, 가죽, 신발 |
생활용품 | 목재, 종이, 플라스틱, 가구, 오락용품 |
전기전자 | 전자부품, 전기장비, 컴퓨터, 통신기기 |
기계 | 내연기관, 유압기기, 냉각장치 |
의료·제약 | 의약품, 의료용품, 안경 |
출판·콘텐츠 | 서적, 신문, 음악 |
기타 제조업 | 식료품 가공, 금속가공제품 |
2. 한중 FTA 지원대상 업종에 해당되면?
✅ 통상변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(자금지원, 컨설팅, 마케팅 지원 등)에
신청 가능합니다.
✅ 특히 한중 FTA로 인해 수입 증가, 수출 감소, 시장 변화를 경험한 기업이라면
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🚀 [한중 FTA 통상변화대응 지원사업 신청 절차 및 방법]
통상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라면, 지원사업을 통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습니다!
1. 신청 대상
✅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- 통상변화로 인해 피해를 받았거나 받을 우려가 있는 기업
- 예) 한중 FTA 발효로 인해 수입경쟁 심화, 수출 감소 등
- 지정된 지원 업종에 해당하는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 영위 기업
- (앞서 정리한 섬유, 생활용품, 전기전자, 제약, 콘텐츠 산업 등)
2. 신청 절차
신청부터 최종 지원까지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.
단계내용
① 사전 준비 | 신청자격 확인 및 업종·피해 여부 점검 |
② 온라인 신청 | KOTRA 통상지원포털 등 공식 사이트에서 신청 |
③ 서류 제출 | 사업계획서, 매출자료, 재무제표 등 제출 |
④ 심사 | 통상영향, 사업타당성, 성장가능성 등 평가 |
⑤ 지원대상 선정 | 최종 선정 후 개별 통지 |
⑥ 지원 프로그램 연계 | 맞춤형 자금지원, 컨설팅, 마케팅 등 진행 |
3. 제출 서류
필수 제출 서류
- 통상변화 영향 입증자료
- 매출 감소 자료, 생산량 감소 자료
- 수출 감소 자료 등
- 사업계획서
- 사업전환 계획 또는 피해극복 전략 포함
- 기업 일반현황
- 사업자등록증 사본
- 최근 2~3년 재무제표
- 기타 증빙서류
- 업종 확인서류(한국표준산업분류 확인용)
- 필요 시 통상조약 영향 확인자료
✅ 필요서류는 지원하는 프로그램(자금지원, 컨설팅 등)에 따라 일부 추가될 수 있습니다.
4. 심사 기준
평가 주요 항목
- 통상변화 영향성
- FTA 등 통상조약으로 인한 매출, 수출, 고용 영향 여부
- 사업계획 타당성
- 피해 극복을 위한 전략의 구체성, 실행 가능성
- 기업 성장 가능성
- 향후 사업 확장성, 시장성 평가
✅ 특히 수출 감소, 내수 침체, 고용 감소 등 실질적인 피해가 있는 경우 가점이 부여됩니다.
5. 지원 방식
- 자금 지원
- 시설투자, 사업전환, 연구개발(R&D) 등 소요자금 일부 지원
- 전문 컨설팅
- 사업전환 전략 수립, 시장 다변화, 수출 판로 개척 지원
- 해외마케팅 지원
- 바이어 발굴, 해외 전시회 참가, 온라인 홍보 지원
✅ 신청기업의 상황에 맞춰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으로 연결됩니다!
✨ 마무리
한중 FTA를 비롯한 통상환경 변화는
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.
✅ 통상변화대응지원사업을 활용하면
단순히 피해를 극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,
신시장 개척과 기업 체질 개선까지 이룰 수 있습니다!
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
정책자금, 수출·글로벌, 인력·창업, 지역혁신 등을 연계 지원하는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혁신성장 선도 플랫폼
www.kosmes.or.kr
반응형